전라북도 실적
(단위:백만불)
구분 |
수출 |
수입 |
수지 |
2011(최고치) |
12,818 |
5,222 |
7,596 |
2012 |
12,007 |
4,624 |
7,383 |
2013 |
10,116 |
4,470 |
5,646 |
2014 |
8,556 |
4,552 |
4,004 |
2015 |
7,952 |
4,281 |
3,671 |
2016 |
6,291 |
3,893 |
2,398 |
2017 |
6,309 |
4,583 |
1,726 |
2018 |
7,828 |
5,446 |
2,382 |
2019 |
6,537 |
4,987 |
1,550 |
2020 |
5,842 |
4,772 |
1,070 |
2021 |
5,780 |
4,366 |
1,414 |
’21년 전국 수출입 실적
(’21년 7월 기준 한국무역통계진흥원, 단위:백만불)
구분 |
수출 |
수입 |
수지 |
합계 |
303,217 (10.27%) |
285,240 (19.51%) |
흑자 17,977 |
1분기 (1월~3월) |
146,424 (3.19%) |
136,257 (10.17%) |
흑자 10,167 |
2분기 (4월~6월) |
156,793 (7.08%) |
148,983 (9.34%) |
흑자 7,810 |
※ 괄호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
’21년 전라북도 수출입 실적
(’21년 7월 기준 한국무역통계진흥원, 단위:백만불)
구분 |
수출 |
수입 |
수지 |
합계 |
3,757 (-18.9%) |
2,877 (-5.4%) |
흑자 880 |
1분기 (1월~3월) |
1,756 (8.3%) |
1,397 (17%) |
흑자 359 |
2분기 (4월~6월) |
2,001
(13.9%) |
1,480
(5.9%) |
흑자 521 |
※ 괄호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
전라북도 수출기업 수 : 1,046업체(※ ’21년 7월 기준, 자체)
기업규모별 수출현황
(’21년 7월 기준, 한국무역통계진흥원 단위:백만불,%)
구분 |
계 |
중소기업 |
중견기업 |
대기업 |
기타/미분류 |
’21년 6월 |
412 (100.0) |
121 (29.4) |
160 (38.8) |
131 (31.8) |
0 (0) |
’21년 1~6월 |
4,338 (100.0) |
1,342 (30.9) |
1,774 (40.9) |
1,221 (28.2) |
0 (0) |
시군별 수출 현황 (※ 누계포함)
(’21년 7월 기준 한국무역협회, 단위:백만불,%)
구분 |
전주 |
군산 |
익산 |
정읍 |
남원 |
김제 |
완주 |
’21년 6월 |
81
(11.6) |
203
(28.9) |
187
(26.6) |
54
(7.7) |
3
(0.5) |
18
(2.6) |
141
(20.1) |
’21년 1~6월 |
1,004
(12.2) |
2,500
(30.5) |
1,989
(24.2) |
667
(8.1) |
45
(0.6) |
247
(3.0) |
1,588
(19.3) |
구분 |
진안 |
무주 |
장수 |
임실 |
순창 |
고창 |
부안 |
'21년
6월 |
0.8
(0.1) |
0.5
(0.2) |
0.6
(0.1) |
7
(1.1) |
0.1
(0.0) |
0.3
(0.1) |
3
(0.5) |
'21년
1~6월 |
12
(0.2) |
8
(0.1) |
8
(0.1) |
95
(1.2) |
2
(0.0) |
4
(0.1) |
36
(0.4) |
※ 괄호 안은 수출액 비중
국가별 당월 수출입현황
(’21년 7월 한국무역통계진흥원, 단위:백만불,%)
수 출 |
수 입 |
국가 |
수출액 |
비중 |
전년比 |
국가 |
수입액 |
비중 |
전년比 |
중국 |
799 |
39.3 |
35.5 |
중국 |
687 |
38.8 |
36.7 |
미국 |
646 |
31.8 |
49.0 |
미국 |
464 |
26.2 |
11.5 |
일본 |
235 |
11.6 |
29.7 |
일본 |
347 |
19.6 |
26.0 |
베트남 |
224 |
11.0 |
39.6 |
베트남 |
145 |
8.2 |
-4.5 |
인도 (인디아) |
127 |
6.3 |
35.7 |
인도 (인디아) |
129 |
7.3 |
67.1 |
대륙별 당월 수출입현황
(’21년 7월 한국무역통계진흥원, 단위:백만불,%)
국가 |
수출 |
수입 |
수출액 |
비중 |
전년比 |
수입액 |
비중 |
전년比 |
아시아 |
1,931 |
51.4 |
31.3 |
1,725 |
60.4 |
25.6 |
유럽 |
656 |
17.5 |
42.0 |
359 |
12.6 |
25.2 |
북미 |
661 |
17.6 |
47.5 |
420 |
14.7 |
-16.7 |
중동 |
127 |
3.4 |
-22.3 |
56 |
2.0 |
20.1 |
중남미 |
276 |
7.3 |
119.7 |
210 |
7.4 |
6.8 |
아프리카 |
52 |
1.4 |
18.6 |
81 |
2.8 |
53.7 |
대양주 |
53 |
1.4 |
82.4 |
6 |
0.2 |
-45.8 |
전통시장·소상공인
연도별 소상공인 사업체수
('19년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소상공인 현황통계, 단위:개)
구분 |
전북 |
전국 |
'14년 |
115,416 |
3,063,001 |
'15년 |
115,736 |
3,084,376 |
'16년 |
116,168 |
3,137,700 |
'17년 |
116,395 |
3,188,006 |
'18년 |
118,300 |
3,236,238 |
'19년 |
101,758 |
2,771,086 |
연도별 소상공인 종사자수
('19년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소상공인 현황통계, 단위:명)
구분 |
전북 |
전국 |
'14년 |
216,105 |
6,046,357 |
'15년 |
215,083 |
6,065,560 |
'16년 |
216,644 |
6,202,033 |
'17년 |
219,524 |
6,365,094 |
'18년 |
223,165 |
6,424,490 |
'19년 |
224,870 |
6,443,431 |
전북 지역별 전통시장 현황
(’20년 기준 전북통계연보, 단위:개,%)
계 |
전주 |
군산 |
익산 |
정읍 |
남원 |
김제 |
완주 |
75
(100) |
10
(13.3) |
8
(10.7) |
13
(17.3) |
7
(9.3) |
4
(5.3) |
4
(5.3) |
5
(6.7) |
진안 |
무주 |
장수 |
임실 |
순창 |
고창 |
부안 |
1
(1.3) |
4
(5.3) |
3
(4.0) |
5
(6.7) |
3
(4.0) |
6
(8.0) |
2
(2.7) |
전북 전통시장 수(등록‧인정시장)
(’19년 전통시장 실태조사, 단위:개)
구분 |
2017년 |
2018년 |
2019년 |
전북 |
58 |
58 |
58 |
전국 |
1,450 |
1,437 |
1,413 |
전북 전통시장 크기 현황
(’19년 전통시장 실태조사, 단위:개,%)
구분 |
소계 |
소형시장 |
중형시장 |
중대형시장 |
대형시장 |
전북 |
58
(100) |
44
(75.9) |
14
(24.1) |
0
(0.0) |
0
(0.0) |
전국 |
1,413
(100) |
878
(62.1) |
485
(34.3) |
32
(2.3) |
18
(1.3) |
※ 소형시장 : 시장 내 영업 점포수 100개 미만
※ 중형시장 : 시장 내 영업 점포수 100개 이상 500개 미만
※ 중대형 시장 : 시장 내 영업 점포수 500개 이상 1,000개 미만
※ 대형시장 : 시장 내 영업 점포수 1,000개 이상
전북 전통시장 상권크기 현황
(’19년 전통시장 실태조사, 단위:개,%)
구분 |
소계 |
근린상권 |
지역상권 |
광역상권 |
전국상권 |
전북 |
58
(100) |
36
(62.1) |
22
(37.9) |
0
(0.0) |
0
(0.0) |
전국 |
1,413
(100) |
792
(56.12) |
462
(32.7) |
117
(8.3) |
42
(3.0) |
※ 근린상권형 시장 : 시장이 소재한 읍‧면‧동 또는 그 일부를 대상으로 상권이 형성된 시장
※ 지역상권형 시장 : 시장이 소재한 시‧군‧구 대상으로 상권이 형성된 시장
※ 광역상권형 시장 : 1개 이상의 시‧도를 대상으로 상권이 형성된 시장
※ 전국상권형 시장 : 전국을 대상으로 상권이 형성된 시장
전북 전통시장 점포수 현황
(’19년 전통시장 실태조사, 단위:개,%)
구분 |
소계 |
영업점포 |
빈점포 |
기타점포 |
전북 |
5,140
(100) |
4,614
(89.8) |
380
(7.4) |
146
(2.8) |
전국 |
207,643
(100) |
182,617
(87.9) |
19,818
(9.5) |
5,208
(2.5) |
※ 소형시장 : 시장 내 영업 점포수 100개 미만
※ 중형시장 : 시장 내 영업 점포수 100개 이상 500개 미만
※ 중대형 시장 : 시장 내 영업 점포수 500개 이상 1,000개 미만
※ 대형시장 : 시장 내 영업 점포수 1,000개 이상
※ ’18년 전통시장‧상점가 및 점포경영 실태조사는 시장‧상점가 통합, 영업중단, 기능미약
시장을 제외한 전통시장 및 상점가를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, 위의 통계자로는 등록
시장과 인정시장을 중심으로 작성되었음
- 등록시장 : 유통산업발전법 제8조 및 같은 법 제2조 제3호에 따른 대규모 점포
- 인정시장 : 등록시장과 같은 기능을 하고 있으나 대규모점포 요건은 갖추지 못한 곳으로서
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다고 특별자치도지사‧시장‧군수‧구청장이 인정한 곳
사회적경제
시군별 사회적기업 현황
(’21년 7월 사회적기업진흥원, 단위:개)
구분 |
기업수 |
분야별(예비 제외) |
소계 |
인증 |
예비 |
환경 |
문화예술 |
제조 |
가사
간병 |
교육 |
보건 |
기타 |
임업 |
농식품 |
문화관광 |
서비스 |
유통 |
사회복지 |
소계 |
306 |
180 |
126 |
28 |
26 |
65 |
6 |
47 |
9 |
48 |
4 |
38 |
14 |
9 |
12 |
0 |
전주 |
124 |
79 |
45 |
13 |
16 |
20 |
3 |
21 |
3 |
21 |
0 |
8 |
10 |
3 |
6 |
0 |
군산 |
35 |
20 |
15 |
6 |
2 |
9 |
0 |
3 |
0 |
8 |
0 |
6 |
0 |
0 |
1 |
0 |
익산 |
36 |
21 |
15 |
4 |
2 |
9 |
1 |
3 |
3 |
5 |
0 |
3 |
0 |
2 |
4 |
0 |
정읍 |
17 |
10 |
7 |
1 |
0 |
2 |
0 |
4 |
1 |
1 |
1 |
4 |
1 |
1 |
1 |
0 |
남원 |
17 |
8 |
9 |
1 |
2 |
6 |
0 |
5 |
1 |
1 |
0 |
0 |
1 |
0 |
0 |
0 |
김제 |
13 |
8 |
5 |
0 |
1 |
3 |
0 |
3 |
0 |
3 |
0 |
3 |
0 |
0 |
0 |
0 |
완주 |
26 |
9 |
17 |
0 |
1 |
8 |
0 |
6 |
1 |
6 |
1 |
1 |
0 |
2 |
0 |
0 |
진안 |
5 |
4 |
1 |
1 |
0 |
1 |
1 |
1 |
0 |
0 |
0 |
1 |
0 |
0 |
0 |
0 |
무주 |
7 |
2 |
5 |
0 |
0 |
3 |
0 |
0 |
0 |
2 |
2 |
0 |
0 |
0 |
0 |
0 |
장수 |
4 |
3 |
1 |
0 |
0 |
0 |
0 |
0 |
0 |
0 |
0 |
4 |
0 |
0 |
0 |
0 |
임실 |
4 |
4 |
0 |
0 |
1 |
0 |
1 |
0 |
0 |
0 |
0 |
1 |
0 |
1 |
0 |
0 |
순창 |
8 |
6 |
2 |
2 |
0 |
1 |
0 |
1 |
0 |
1 |
0 |
3 |
0 |
0 |
0 |
0 |
고창 |
8 |
5 |
3 |
0 |
1 |
2 |
0 |
0 |
0 |
0 |
0 |
3 |
2 |
0 |
0 |
0 |
부안 |
2 |
1 |
1 |
0 |
0 |
1 |
0 |
0 |
0 |
0 |
0 |
1 |
0 |
0 |
0 |
0 |
시도별 인증 사회적기업 현황
(’21년 7월 사회적기업진흥원, 단위:개, %)
전국 |
서울 |
부산 |
대구 |
인천 |
광주 |
대전 |
울산 |
세종 |
3,064 (100) |
549 (17.8) |
149 (4.9) |
114 (3.7) |
193 (6.3) |
131 (4.3) |
86 (2.8) |
108 (3.5) |
20 (0.7) |
경기 |
강원 |
충북 |
충남 |
전북 |
전남 |
경북 |
경남 |
제주 |
524 (17.1) |
171 (5.6) |
126 (4.1) |
120 (3.9) |
179 (6.0) |
165 (5.4) |
204 (6.7) |
149 (4.9) |
76 (2.5) |
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 운영 현황
(’21년 7월 기준, 자체)
구분 |
사업년도 |
창업자(팀) |
사업비(백만원) |
소계 |
|
265개 |
8,784 |
1기 |
'11년 |
6개 |
198 |
2기 |
'12년 |
14개 |
483 |
3기 |
'13년 |
20개 |
603 |
4기 |
'14년 |
20개 |
679 |
5기 |
'15년 |
26개 |
867 |
6기 |
'16년 |
27개 |
972 |
7기 |
'17년 |
32개 |
1,031 |
8기 |
'18년 |
35개 |
1,143 |
9기 |
'19년 |
40개 |
1,310 |
10기 |
'20년 |
50개 |
1,630 |
11기 |
'21년 |
45개 |
1,498 |
마을기업 사업배경
’97년 외환위기로 인한 지역 경제 붕괴
’10년 안전행정부 ‘자립형 지역공동체 사업’ 시작
’11년 ‘마을기업’으로 사업명 변경
’11년 550개 → ’21년 7월 1,652개(200% 증가)
전북 마을기업 지정 현황
(’21년 7월 자체, 단위:개)
구분 |
신규 |
예비 |
소계 |
119 |
14 |
'10년 |
11 |
0 |
'11년 |
15 |
0 |
'12년 |
11 |
0 |
'13년 |
30 |
0 |
'14년 |
8 |
0 |
'15년 |
14 |
0 |
'16년 |
6 |
0 |
'17년 |
5 |
8 |
'18년 |
5 |
2 |
'19년 |
5 |
0 |
'20년 |
9 |
4 |
시도별 마을기업 현황
(’20년 12월 행정안전부, 단위:개, %)
전국 |
서울 |
부산 |
대구 |
인천 |
광주 |
대전 |
울산 |
세종 |
1,652
(100) |
96
(5.8) |
77
(4.7) |
92
(5.6) |
56
(3.4) |
65
(3.9) |
59
(3.6) |
44
(2.7) |
32
(1.9) |
경기 |
강원 |
충북 |
충남 |
전북 |
전남 |
경북 |
경남 |
제주 |
197
(11.9) |
125
(7.6) |
92
(5.6) |
140
(8.5) |
106
(6.4) |
174
(10.5) |
134
(8.1) |
125
(7.6) |
38
(2.3) |
전라북도 시군별 마을기업 현황
(’21년 7월 행정안전부, 단위:개, %)
계 |
전주 |
군산 |
익산 |
정읍 |
남원 |
김제 |
완주 |
106
(100) |
7
(6.6) |
5
(4.7) |
10
(9.4) |
14
(13.2) |
9
(8.5) |
7
(6.6) |
13
(12.3) |
진안 |
무주 |
장수 |
임실 |
순창 |
고창 |
부안 |
3
(2.8) |
7
(6.6) |
7
(6.6) |
8
(7.5) |
8
(7.5) |
6
(5.7) |
2
(1.9) |
전라북도 마을기업 일자리 및 소득창출 현황
(’20년말 자체, 단위:개)
구분 |
'17년 |
'18년 |
'19년 |
'20년 |
마을기업수 |
101개소 |
106개소 |
105개소 |
104개소 |
매출액 |
132억원 |
147억원 |
134억원 |
174억원 |
일자리
창출 |
1,936명
(상근 148
비상근 1,788) |
1,973명
(상근 239
비상근 1,734) |
9,377명
(상근 244
비상근 9,133) |
814명
(상근 217
임시‧일용 597) |
협동조합 설립 현황
(’21년 전라북도 협동조합 현황, 단위:개,%)
구분 |
전북 |
전국 |
'15년 |
532(45.8) |
8,123(37.6) |
'16년 |
694(30.5) |
9,979(22.8) |
'17년 |
792(14.1) |
11,637(16.6) |
'18년 |
933(17.8) |
14,552(25.0) |
'19년 |
1,008(8.0) |
15,637(7.6) |
'20년 |
1,172(13.9) |
18,185(14.0) |
'21년 |
1,393(18.3) |
21,353(17.4) |
※ 괄호 안은 전년 대비 증가율
시군별 협동조합 현황
(’21년 전라북도 협동조합 현황, 단위:개,%)
계 |
전주 |
군산 |
익산 |
정읍 |
남원 |
김제 |
완주 |
1,393
(100) |
468
(33.6) |
163
(11.7) |
166
(11.9) |
86
(6.2) |
103
(7.4) |
56
(4.0) |
159
(11.4) |
진안 |
무주 |
장수 |
임실 |
순창 |
고창 |
부안 |
32
(2.3) |
28
(2.0) |
23
(1.7) |
23
(1.7) |
20
(1.4) |
31
(2.2) |
35
(2.5) |
형태별 협동조합 현황
(’21년 전라북도 협동조합 현황, 단위:개,%)
계 |
일반협동조합 |
사회적협동조합 |
일반연합회 |
1,393(100) |
1,236(88.7) |
155(11.1) |
2(0.1) |
분야별 설립신고 현황
(’21년 전라북도 협동조합 현황, 단위:개,%)
계 |
1,393(100) |
도소매 |
302(21.7) |
협회단체 |
135(9.7) |
농어임업 |
137(9.8) |
제조업 |
130(9.3) |
예술스포츠 |
132(9.5) |
교육서비스 |
139(10.0) |
숙박음식점 |
56(4.0) |
기타 |
362(26.0) |
지원사업 운영 현황
우리 원 지원사업 운영 현황(총괄)
구분 |
사업개수 |
사업예산 |
지원규모 |
합 계 |
59개 |
43,322백만원 |
1,937업체
프로모션17회등
육성자금2200억원 3,385명 |
통상
마케팅실 |
소 계 |
22개 |
12,203백만원 |
1,087업체 지원
프로모션 17회 등
육성자금2200억원 |
수출전략TF |
1개 |
10,000백만원 |
25업체, 417건 |
해외시장팀 |
7개 |
3,983백만원 |
963업체, 3개소 |
기업성장팀 |
7개 |
2,305백만원 |
62업체
전시·박람회
지원 등 17회 |
온라인팀 |
4개 |
1,460백만원 |
62업체, 24회 |
자금기술팀 |
3개 |
3,455백만원 |
육성자금 2,200억 |
상생
협력실 |
소 계 |
23개 |
26,825백만원 |
594업체
2794명 |
소상공인팀 |
8개 |
3,562백만원 |
554업체 등 |
혁신창업팀 |
2개 |
1,576백만원 |
25명
20업체 |
일자리팀 |
3개 |
12,863백만원 |
1,697명,
상담 9,000건 |
청년일자리TF팀 |
4개 |
6,845백만원 |
인건비지원,
400명 |
지역협력팀 |
6개 |
1,979백만원 |
210명, 20업체,
도민운동21회 |
사회적
경제
지원
센터 |
소 계 |
14개 |
4,294백만원 |
256업체
591명 |
사회적경제팀 |
4개 |
469백만원 |
47업체(개소) |
사회적기업가
육성팀 |
4개 |
2,108백만원 |
105업체(팀) |
자치경제팀 |
6개 |
1,617백만원 |
104업체(개소) 591명 |
수출전략 TF
사업명 |
지원내용 |
진행현황 |
비고 |
수출통합지원 협의체
운영 |
전라북도 수출통합지원체계
구축을 위한 협의체 구축
및 회의 운영 |
진행중 |
실무회의
3회,
산업분과회의
5회 |
「전라북도
수출활성화 주간」 운영 |
주력산업 수출기업 피칭,
라이브 커머스,
해외시장 진출전략 명사특강,
바이어 상담회,
수출유관기관 컨설팅 |
진행중
(참여기업 모집 및
행사대행 용역입찰) |
|
원콜 수출대로
운영 |
수출 지원사업
통합 안내 및 관리 |
진행중 |
374건 |
통상 전문가
컨설팅 지원사업 |
수출 전문가
1:1 컨설팅 지원
(매주 수요일) |
진행중 |
8회
(43건) |
수출통합 지원시스템
구축 |
신규 수출통합지원시스템
구축 용역 및 전산장비 구매 |
진행중 |
1식 |
온라인 홍보 콘텐츠
제작 지원 |
외국어 홍보 동영상 제작
비용 지원
(기업별 최대 500만원 한도) |
모집 완료 |
(1차) 20업체
(2차) 5업체 |
수출실적 자료구매 |
전라북도 수출기업
수출실적 자료구매 활용
(2021년 1월~12월 수출실적) |
진행중 |
1월~7월분 |
해외 시장 및
바이어
정보 구축 |
해외 신규 시장/바이어
정보 구축 및
기존 바이어 정보 DB화 |
진행중
(주요 국가·품목 선별) |
|
전라북도
수출동향 보고 |
전라북도 시군구
수출동향 보고
(매월 말, 21년 7월~ ) |
진행중 |
|
기업성장팀
사업명 |
지원내용 |
진행현황 |
비고 |
해외통상거점센터
(베트남, 인도) 운영 |
해외현지 통상거점센터 구축
(마케팅 대행, 상품전시, 물류창고 등) |
수시 |
130업체
정도 |
돋움기업
육성
지원사업 |
기업진단을 통한
체질개선 컨설팅,
기업애로기술해결,
사업화 마케팅 지원 등 |
성장전략 수립 20업체
기술개발 지원 8건
현장애로기술해결 16건
제품및기술사업화 16건 |
40업체
(신규20) |
중소기업 공공구매
확대 사업 |
공공구매 전시·상담회
공공구매 지원단 운영 |
13회 완료 |
연11회 |
전북상품
오프라인
마케팅
지원사업 |
도내 중소기업 국내 박람회·판매전
참가지원
대형유통채널
MD초정 상담회 |
박람회 지원
(2회, 16업체)
MD초청상담회
(1회 예정) |
3회 |
맞춤형 입찰정보
서비스 운영 |
공공구매 입찰정보제공,
MAS컨설팅, 맞춤형 실무교육 |
수시 |
14업체
정도 |
탄소산업 활성화
T2B 지원사업 |
탄소기업 마케팅 역량 강화
수출 현지화 마케팅 지원
국내·외 수출상담회 |
마케팅 역량강화
(15업체)
수출 현지화 마케팅
(3업체) |
18업체
정도 |
해외시장팀
사업명 |
지원내용 |
진행현황 |
개별박람회
지원 |
해외시장 개척 강화 및
판로·바이어 발굴기회
제공 |
7개사 |
단체박람회
지원 |
온오프라인 박람회 참가를
위한 부스, 장치,
통역비, 운송비 등 도내
중소 수출기업의 신규
거래선 발굴 및 해외시장
개척 지원 |
4개사 |
수출상담회 운영 |
현지 바이어 발굴 및
화상 상담주선,
맞춤형 멘토링 제공 |
2회,
42개사 |
마이오피스 지원
(토탈마케팅) |
해외 사무소 역할 대행을
통한 수출 활성화 도모 및
오프라인, 디지털B2B 거래
활성화 등 중점시장에
특화된 마케팅 지원 |
26개사 |
마이오피스 지원
(지사화) |
22개사
/33건, |
마이오피스 지원
(온라인 상담) |
6개사
/6건 |
외국어통번역
지원 |
외국어 통역 및 번역
(15개 언어)지원
(업체당 150만원 한도내) |
100개사,
311건
(번역299건,
통역12) |
포스트차이나
신시장 개척지원 |
전북상품의 해외현지
유통망 진출 지원 |
25업체 |
FTA 전문가 컨설팅 |
FTA 전문가 맞춤형
컨설팅
무료 지원 |
133개사,
224건 |
OK FTA
컨설팅 |
지역 FTA활용지원센터의
기능 강화를 위한 전략적인
기업지원 추진 |
21개사,
24건 |
원산지 확인서
제3자 확인사업 |
업체의 FTA활용 제고 및
체계적인 원산지관리 지원 |
11개사,
23건 |
FTA교육 및 설명회 |
FTA 활용 교육 및
설명회 운영 |
8회,
225개사 |
전북 수출바우처
지원 |
수출주도형 기업 육성을
위한
집중 지원
(수출기반조성-마케팅-계약체결) |
28개사 |
해외 규격
인증
획득 지원 |
해외규격 인증획득에
소요되는 직접비용 일부지원 |
3개사 |
해외(중국)사무소
운영 |
중국 현지에서의 업무
지원능력을 확보하여 통상지원,
관광객, 유학생 유치 등의
사업지원 및 우호도시간
국제교류 강화 |
활동 : 31회
활성화
추진:42회
유학생
유치활동: 22회 |
탄소 융복합 기반
구축
(BD지원) |
유망 탄소 소재부품의
해외사업화 및 수출증진을
위한 기업종합지원 |
20개사 |
탄소 융복합 기반
구축
(디렉토리북) |
국내 탄소기업의 DB구축을
위한 국·영문 통합
홍보자료 제작 |
58개사 |
온라인팀
사업명 |
지원내용 |
진행현황 |
비고 |
온라인
토탈 마케팅 |
(국내)시즌·테마별
온라인 프로모션 |
모집완료 |
연간
15회 |
(해외)해외온라인
플랫폼 입점지원 |
홈쇼핑
방송 지원 |
홈&쇼핑, NS쇼핑,
공영쇼핑 등
TV홈쇼핑
방송 지원 |
모집완료 |
18업체 |
거시기장터
운영 |
거시기장터 운영 및
온라인 프로모션 지원 |
모집완료 |
상시진행 |
자금기술팀
사업명 |
지원내용 |
진행현황 |
비고 |
추석(명절)긴급
경영안정자금 |
중소기업 경영안전자금
100억원 지원
※ 2억원 한도 |
명절
1개월 전 |
|
경영안정자금 |
중소기업 운전자금
1,050억원 지원
※ 일반 3억원, 우대 5억원 한도 |
수시
(예산
소진시까지) |
|
창업·경쟁력
강화자금 |
중소기업 시설자금
1,000억원 지원
※ 일반 10억원, 우대 13억원 한도 |
수시
(예산
소진시까지) |
|
벤처기업
육성자금 |
중소 벤처기업 시설·운전자금
150억원 지원
※ 벤처창업 6억(시설4·운전2)
벤처성장 4억(시설·운전) |
수시
(예산
소진시까지) |
|
시제품제작
지원 |
예비창업자 및 창업기업
시제품 제작
(최대 2백만원 한도) |
마감 |
14업체
정도 |
시금형제작
지원 |
예비창업자 및 창업기업
시금형 제작
(최대 7백만원 한도) |
마감 |
10업체
정도 |
소기업 맞춤형
기술역량 강화 |
산·학·연 협력을 통한
중소기업 역량강화
(공정개선, 시험분석비용,
기술가치평가 등) |
마감 |
200업체
정도 |
소상공인팀
사업명 |
지원내용 |
진행현황 |
비고 |
소상공인 광역
지원센터 운영 |
소상공인콜센터 운영
(소상공인 지원사업 안내
및 불편사항 접수 등) |
수시
(10,400콜,
8.13기준) |
1588-
0700 |
소상공인희망센터
운영 |
보육지원 : 84실,
88업체
성장지원 : 사업화,
지적재산권 취득 지원 등 |
수시 |
|
스타소상공인
육성 |
성공한 소상공인
모델 육성 지원
(경영지원금, 방송홍보,
특례자금 등) |
모집완료
(접수 91업체) |
6업체 |
전북천년명가
육성 |
30년 이상 가업승계
육성 지원
(경영지원금, 마케팅, 홍보,
멘토링 등) |
모집완료
(접수 36업체) |
10업체 |
민생현장
솔루션팀 |
시·군 소상공인 밀집
현장방문 및
고충해결
컨설팅 지원 |
수시
(20회 완료) |
24회 |
소상공인
경영개선교육 |
소상공인 경영활성화
전문교육 |
수시
(6회 완료) |
20회 |
소상공인 비대면
경영전환 지원 |
소상공인의 제품 및
서비스 판매 방식
온라인화 지원
(사진촬영, 상세페이지 제작,
홍보영상 제작 등) |
모집완료
(제작 진행중) |
250업체 |
폐업(예정)
소상공인
사업재기 지원 |
소상공인의 안정적
사업정리
및 원상복구 비용 지원
(컨설팅, 사업장 정리, 재기지원) |
모집중
(159업체 완료) |
180업체 |
제로페이
활성화 |
제로페이 가맹점 확보
및 사용자 확산 |
수시
(19회, 600업체) |
|
소상공인
역량강화 지원 |
맞춤형 컨설팅 및
아이디어실현 바우처 지원
(컨설팅 1일~4일,
바우처 최대 200만원) |
모집완료
(긴급 389,
창의 199업체) |
600업체 |
혁신창업팀
사업명 |
지원내용 |
진행현황 |
비고 |
중장년
기술창업센터
운영 |
중장년 기술
창업자 보육
(15개실, 20업체) |
모집완료 |
20개사 |
시제품제작
지원 |
예비창업자 및
창업기업 시제품 제작
(최대 2백만원 한도) |
상시모집 |
13업체
정도 |
시금형제작
지원 |
예비창업자 및
창업기업 시금형 제작
(최대 7백만원 한도) |
마감 |
13업체
정도 |
재도전
성공패키지 |
폐업이력 보유한 3년 이내
(예비)재창업자 사업화 지원
(사업화자금 최대 5천,
재도전 프로그램, 입주공간 등) |
모집완료 |
25명 |
일자리팀
사업명 |
지원내용 |
진행현황 |
비고 |
일자리종합
센터
운영 |
취업정보 제공, 구인·구직상담,
청년전북 취업디딤돌,
구직자양성교육(NCS, 경호경비),
면접비·자격증비·면접사진비지원,
성공정착금 지원 등 |
수시 |
|
공공기관-대학교
잡멘토링 |
지역인재 취업 지원을
위한
멘토링데이
및 네트워킹 |
모집완료 |
멘티240
멘토30 |
청년전북
뉴웨이브 |
도내 중소기업 등
청년구직자
인건비 지원
(최대 2년, 48백만원) |
모집완료 |
500명 정도
(2021년까지) |
기능 우수인력
도내 중소기업
취업지원 |
기능경기대회
수상자 중 도내 기업 취업자
취업장려금 지원 |
수시 |
8명
정도 |
중소기업
경영개선
컨설팅 |
중소 제조업체 분야별
전문컨설턴트
매칭 상담 |
수시 |
60업체 |
지역협력팀
사업명 |
지원내용 |
진행현황 |
비고 |
창업기업 양성
프로젝트
(지식기반 창업교육) |
만 20세 ~ 만 39세 이하
창업교육
(이수 후 최대 5천만원 융자지원) |
모집예정 |
연2회
300명 |
지역경제살리기
도민운동사업 |
지역축제(가맥축제), 청춘보부상,
지역민간네트워크 활용 및
내 고장 상품 애용 운동 등 |
진행중 |
연간
30회 |
4050 행복창업
프로젝트 |
만 40세 이상 창업교육
(이수 후 최대 5천만원 융자지원) |
모집예정 |
연2회
150명 |
순창장류 소공인
특화지원센터 |
작업환경 개선사업,
포장·용기 개발 선택형
경영마케팅 활성화 지원,
소공인 특화 교육 운영 등 |
모집완료 |
46업체 |
전북 청년창업
드림스퀘어 |
청년창업지원 허브 구축
및 창업가 육성
(창업공간 구축,
창업 사업화 자금 등) |
모집완료 |
34명 |
창업자
사후관리 지원 |
창업교육 수료 초기창업자
경쟁력 강화 지원
(시제품 개발, 홍보,
사업화 자금) |
모집완료 |
20업체 |
사회적경제팀
사업명 |
지원내용 |
진행현황 |
비고 |
사회적경제
민·관협의체 구축 |
사회적경제 민·관협의체
구성 및 운영
(사회적경제위원회,
실무위원회,
5개 분과위원회) |
수시운영 |
|
커뮤니티비즈니스
활성화 |
사회적경제기업
IT콘텐츠 R&D 지원,
문화·예술·관광분야
AR/VR(증강/가상현실)
콘텐츠 개발 |
모집완료 |
4업체 |
사회적경제
혁신성장사업 |
사회적경제기업 바이오푸드,
스마트문화콘텐츠 분야
사업화지원 |
수시 |
|
전북형 공유경제
온라인 플랫폼
구축 및 운영 |
전북 민간·공공 공유자원
공유서비스
온라인
플랫폼 개발과 운영 |
용역사 선정
(11월 말
구축예정) |
|
사회적기업육성팀
사업명 |
지원내용 |
진행현황 |
비고 |
사회적기업가
육성사업 |
사회적기업가 인재 육성,
창업 공간·자금 및
교육·멘토링 등
(창업자금 최대 50백만원) |
모집완료 |
50개 |
사회적기업 전라북도
지역특화사업 |
(예비)사회적기업 마케팅
및 성과조사 등 |
진행중 |
4회 내외,
220업체 |
사회적기업 성장지원
센터 운영 |
(예비)사회적기업 인큐베이팅,
교육, 판로개척, 네트워킹 등 |
수시 |
50업체 |
사회적경제
성장기업육성사업 |
사회적경제기업 마케팅 및
신제품 개발
(기업당 50~60백만원 정도) |
모집완료 |
5업체 |
소셜벤처경연대회 |
소셜벤처 아이디어 발굴
권역대회 개최 |
모집중
(~7.13.) |
120개 |
사회적경제
활성화교육 |
지역사회 대상
사회적경제교육지원 |
수시 |
12회 |
자치경제팀
사업명 |
지원내용 |
진행현황 |
비고 |
마을기업 육성 |
마을기업 교육, 컨설팅
판로개척,
네트워크 지원 |
수시 |
103개소 |
마을기업
사무장 지원 |
마을기업 사무장 선발 및
직무 특화 현장 교육,
간담회, 워크샵, 컨설팅 지원 |
수시 |
35명 |
사회적경제
우선구매
활성화 |
우선구매 전시상담회 운영 |
9월 말
예정 |
1회 |
우선구매 지원단 운영
(기관방문 및 소규모 상담회) |
회차별
모집 |
23회 |
사회적경제
청년혁신가 지원 |
참여사업장과 청년혁신가 매칭
및 채용, 청년혁신가 교육 지원 등 |
수시 |
250명 |
소상공인협업
아카데미 |
내방상담, 방문상담 운영
(아카데미 프로그램 안내, 경영,
전문가 자문 등 상담 지원) |
상시 |
123명 |
방문교육, 상설교육 운영
(소상공인협동조합 역량 강화 교육) |
수시 |
307명 |
인큐베이팅 지원
(소상공인협동조합 설립 과정 지원) |
마감 |
9개소 |
회계세무 프로그램 지원
(소상공인협동조합
CU-bizcoop 플랫폼 활용 지원) |
수시 |
12개
조합 |
중소기업 범위
업종별 중소기업 범위(평균매출액 기준)
주업종 |
중소기업
|
제조업 : 의복·액세서리·모피, 가죽·가방·신발,
펄프·종이,1차금속, 전기장비, 가구
|
1,500억원
이하 |
농업·임업·어업·광업, 건설, 도·소매, 전기·가스·수도사업
제조업 : 식품, 기계·장비, 자동차, 화학·소재·연료, 전자·정보, 식료품, 담배, 섬유, 목재‧나무, 석유‧화학, 고무‧플라스틱, 금속가공, 전자부품, 영상‧음향‧통신 |
1,000억원
이하 |
운수창고업, 정보통신, 폐기물처리·원료재생
제조업 : 음료, 의약품, 의료·정밀·광학기기, 비금속 광물 제품, 그 밖의 제품제조업
|
800억원
이하 |
전문‧과학·기술서비스, 시설관리·사업지원, 보건·사회복지, 산업용 기계‧장비수리, 예술·스포츠·여가, 개인서비스
|
600억원
이하 |
음식·숙박업, 금융·보험, 부동산·임대, 교육서비스
|
400억원
이하 |
*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소속기업 또는 자산 5천억원 이상은 대기업으로 분류
* 중소기업확인서 : 중기청, http://www.smpp.go.kr
COPYRIGHT (C) 2017 JBBA ALL RIGHTS RESERVED